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coding etude

[홈서버 구축] SK 브로드밴드 홈서버 외부 접속 설정 하기 본문

others TIL

[홈서버 구축] SK 브로드밴드 홈서버 외부 접속 설정 하기

코코리니 2025. 8. 25. 15:34
반응형

결론 부터 말하자면 SK브로드밴드를 사용 하면 홈서버를 무료로 구축할 수는 없다..

일단 오늘은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이야기 해보겠다.

 

처음 시작은 통신사(ISP)의 공유기 단말을 통해서 서버컴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공유기 설정방법 부터..

sk의 공유기 설정 페이지 접속 관련해서는 검색하면 바로 나오니까 패스.

 

공유기 설정페이지로 접속 했다면, 우선 DHCP 설정을 진행 했다.

각 기기별 고유 mac 주소가 있는듯 한데. 이것을 등록해서 이 pc( 혹은 랩탑 )에 고정 ip를 할당 하겠다는 예약을 걸어 놓는것이다.

 mac 주소 확인
win - shell or cmd : ipconfig /all (물리적 주소가 mac 주소)
ex) a3-t3-e4-t5-00-00 으로 되어 있지만 입력 할는 - 대시 : 로 변경해주어야 한다.
ex) a3:t3:e4:t5:00:00

Linux - terminal : ip addr (link/ether 값을 찾으면 됨)

이렇게 설정해 놓으면 동일 네트워크에서 설정해 놓은 ip로 접속시 서버 컴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후에 외부에서 접속하게 하려고 한다면 포트 포워딩/DDNS 를 설정해 중야 한다.

 

포트 포워딩 이란?

서버컴에 접속하기 위해서 특정 포트를 설정하여 설정한 포트로만 접속 할 수 있도록 하는것다.

이것 또한 접속 ip에 DHCP에서 설정한 ip를 넣어주고 포트는 원하는 포트 번호로 설정해 주면 된다.

하지만, https 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443 포트로 고정해야 하고 443 포트는 ssl 인증서를 받아야 한다.

DDNS( Dynamic DNS ) 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은 공급업체(ISP)에서 유동 ip를 제공해서 ip주소가 지속적으로 변경 된다.

그래서 domain 주소를 생성 후 도메인 주소로 접속하면 해당 ip로 접속하게 해주는 설정이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domain 주소이다. 무료와 유료가 있고 각 사이트의 정책별로 갱신주기 및 가격이 다르다.

처음에는 어차피 서버 주소기 때문에 무료 도메인 생성하려고 freenom에 접속해서 30번 정도 검색했다.

하지만 무료 도메인은 전혀 검색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freenom은 엄청 느리기 때문에 인고의 시간을 보내다, 

그냥 포기 하고 다른 사이트를 찾았다. 

두번째는 no-ip 사이트. 도메인 생성은 무료이고 30일 마다 사용 연장을 해야한다. 생성 방법도 무지 간단하다.

좌우당간.. noip에서 도메인 생성 후 DDNS 설정도 마무리 했다.

 

테스트 하기

모든 설정 후 생성한 도메인으로 접속 하면 다음 에러가 발생한다. 

(동일네트워크 / 외부 내트워크) : CONNECTION_REFUSED / CONNECTION_TIMED_OUT

동일 네트워크에서는 접속 거부, 외부에서는 시간초과. 외부에서는 접속 시도 하면 서버 근처에도 못갔다고 생각하면 된다.

(일단 집에서 테스트 했기 때문에 외부 테스트는 휴대폰에 termux를 설치해서 사용했다. 휴대폰에서 터미널을 사용 하게 해주는 앱이다.. 너무 유용함...)

 

원인

모든 세팅을 다하고 sk 측에 전화도 했다.

sk 기술 상담 실장과 통화 내용.

"전혀 막아 놓은것도 없고, 고객님이 설정을 잘 못한거 같은데,

전화상으로는 알 수 없기에 기사가 방문해야 알 수 있습니다." (거짓말 or 무능)

하.. 내가 뭔가 잘못했나 싶은순간..!! 

어???? wan ip 가 왜 실제 접속 주소랑 다르지...??????

이게 무슨 말이냐면... no ip에서 domain을 생성하면 생성당시 사용한 네트워크 ip가 자동으로 등록인 된다.

그 자동으로 등록되는 ip 주소가 공유기 설정 페이지의 wan ip 주소와 다르다.

쉽게 설명해서. 지금 내 주소는 111.111.11.1 로 되어 있는데, 실제 주소는 222.222.22.2로 되어 있는것이다.

sk는 이중 NAT를 사용 하는것이였던 것이 였다...이건 바로 내 컴터로 접속 할 수 있는 ip가 아니라 

222.222.22.2로 접속하면 sk가 다시 우리집 ip 111.111.11.1로 연결해 준다고 보면 된다. 

결국 DDNS, 포트 포워딩, DHCP가 모두 싸그리 다 필요없는 뻘짓이였다. 

DDNS의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우리집으로 오는게 아니라 sk 쪽으로 요청이 가는데 sk 가 이거 모두 차단하고 있는 것이 였다...

터미널 : $ curl ifconfig.me 
입력하면 실제 사용되는 ip 주소 확인가능
이 ip 주소가 공유기 설정 페이지의 wan ip와 같아야 한다.

 

해결 방안

1. sk에 고정 ip 사용하게 해주세요 하고, 달에 추가요금을 내면 된다.. 500mb 기준 5만원 정도?

2. cloudflare tunnel을 사용 해서 다이렉트로 홈서버로 꽂아 버리기.

 

하지만, 2번의 경우 루트 도메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료 도메인이 필수이다.

여러 사이트 검색결과 namecheap 이라는 도메인 사이트가 가장 저렴했다. 가장 저렴한게 1년 2달러/ 연장 시 15달러 정도?

어차피 1년정도 서비스 해보고 안되면 접어야 하고, 만에 하나의 경우 잘된다면 홈서버에서 외부서버로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2달러 바로 결제하고 tunnel을 연결했다.

이렇게 또.. 2주가 흘렀다...하..

p.s

참고로 cloudflare에 루투 도메인을 등록 할 때, example.com 식으로 .이 한번만 들어가야한다.

example.abc.kr 이런 식으로 .이 두번 들어가면 등록 자체가 안되다. 이유는 .이 두번 들어가는건 특정 메인 도메인을 빌린 서브 도메인이기 때문이다. 

 

결론

SK 망해라.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