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lutter(Dart) (34)
coding etude
Admob 페이지에서 생성 및 설정 하는 방법은 생략..1. 설정 하기 - 파일에 앱 ID 설정하기IOS (IOS > Runner > Info.plist)GADApplicationIdentifierIOS APP IDANDROID (android > app > src > main > AndroidManifast.xml) 2. bannerAd 생성 및 Load 하기처음에는 provider와 GetIt을 사용하여 생성 하고 불러와서 사용했다.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 했다.- watch 를 사용해서 bannerAd가 로드 되었는지 구독하는 순간 무한 리로딩을 시작한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bannerAd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듯 하다.)- read 를 사용하여 로드하고 불러오면 bannerAd가 ..
fastlane 에서 build_app()로 ios 의 build 폴더를 ipa 로 압축 할때 발생하는 에러. fastlane에서 실행 시 time out 시간을 세팅해주야 하는듯 하다. ENV["FASTLANE_XCODEBUILD_SETTINGS_TIMEOUT"] = "120"이 코드를 ios/Fastfile 내부에 추가해 주면 해결 된다.어디에 삽입하는지 몰라서 고민했는데.build_app 을 사용하는 lane 내부에 넣어서 해결 됐다.숫자는 원하는 시간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예시lane :build do ENV["FASTLANE_XCODEBUILD_SETTINGS_TIMEOUT"] = "120" build_app() end 끝.
flutter_slidable 을 사용하면 발생하는 에러. 단순하게 업데이트 버전이 안맞아서 나오는 증상인듯하다.pubspec.yaml 에서 flutter_slidable : ^3.1.1 => ^3.1.2 로 변경해서 해결.
xcode 빌드 시 발생하는 에러.사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permission 문제인것은 맞는것 같다.어떤 형님은 pod 업데이트 및 추가 시에 발생하는 에러라고도 하는데.. 사실 명확하진 않다. 해결 방법은 의외로 간다하다.xcode > target > build setting > user script sandboxing > Runner => nouser script sandboxing 의 Runner 부분을 no 로 변경해 주면 간단하게 해결 된다. 끝.
flutter 에서 fastlane 을 사용하여 자동 배포 설정을 할때 ruby로 shell에 직접 명령을 내릴때 발생한 오류 이다.sh("flutter","build","ios","--release") 문제1. 위 명령어를 terminal에서 실행하면 문제 없이 작동한다. 2. XCode에서 아카이브로 돌려도 정상 작동한다.3. 그렇다면 문제는 fastlane 자체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실행 방법1. cocoapods 재설치2. ruby 업데이트3. xcode 업데이트(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위해 macOS도 업데이트... ㅠ)다 실패... 하지만 위 방법으로 해결이 된 형들이 많다고 한다. 해결하지만, 우연하게 찾은 한줄로 모든것을 이틀동안 삽질을 해결했다.I had the same issue..
flutter : 3.22.2fastlane : 2.226.0 내부테스트로 업로드 할 때 아래 예시처럼 "draft", "internal"을 설정 했지만 발생한 에러이다.upload_to_play_store( json_key: "...", package_name: "...", track: "internal", release_status: "draft", aab: "../build/app/outputs/bundle/release/app-release.aab", skip_upload_changelogs: true, skip_upload_metadata: true, skip_upload_images: true ) 이전 버전이 없는 상..
flutter : 3.22.2fastlane : 2.226.0 예전에 fastlane을 사용해서 업로드 할때 주로 upload_ 로 시작하는 action을 사용했는데 최근 supply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느낌이라서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supply에 대한 설명은 upload_to_play_store의 별칭이라고 한다.... 그리고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supply를 사용하여 console을 동기화 하고 shell을 통해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기존의 앱의 간단설명, 자세한 설명, 스크린샷, changelog(변경사항) 등은 console에서 수동으로 수정 해야 했지만 supply를 사용하면 console에서 수정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사용1. 먼저 console과 동기화를 진행..
fluter : 3.22.2 stablefastlane: 2.226.0upload_to_play_store( json_key: "play-store-api.json", package_name: "com.project", track: "internal", release_status: "draft", skip_upload_changelogs: true, skip_upload_metadata: true, skip_upload_images: true)위 예시 처럼 내부 테스트로 업로드 시 fastlane 에서는 업로드 성공 메시지가 뜨지만막상 play store consloe 에서 새로운 버전을 등록하려고 하면 라이브러리에 업로드가 되지 않는 문제가..